티스토리 뷰
GNS3은 시스코 에뮬레이터이다.
시스코 Catalyst Switch를 실습할 수 없는게 아쉽지만 Router 실습은 실제 장비와 거의 동일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시스코 랩이 있는 사이트를 보면 Frame-relay 기준으로 구성이 되어 있어서 GNS3에서 Frame-realy 구성을 하는 방법을 적어 놓고자 한다.
GNS3은 이 글을 쓸 당시 v0.8.4 RC2까지 나와 있지만 Windows 7(64bits)에서 정상적으로 실행이 잘 안되는 관계로 v0.8.3.1 기준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굳이 버전을 나눌 필요는 없을 것 같기는 하다.
GNS3은 Dynagen과 돌일하게 net 파일을 가지고 랩 구성을 한다. GNS3에서는 프로젝트라는 표현을 쓴다.
설정을 Dynagen과 동일하다. 즉, GNS3에서 사용했던 프로젝트에 있는 net 파을을 Dynagen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현재 테스트 중인 net 파일을 사용해서 설명해보자
autostart = False
version = 0.8.3.1
[127.0.0.1:7200]
workingdir = D:\dynamips\gns3
udp = 10000
[[3660]]
image = D:\dynamips\images\.....
idlepc = 0x60906474
sparsemem = True
ghostios = True
chassis = 3660
[[ROUTER R1]]
model = 3660
console = 2001
aux = 2501
cnfg = configs\R1.cfg
slot1 = NM-4T
s1/0 = FR1 1
x = -582.0
y = -61.0
z = 1.0
[[ROUTER R2]]
model = 3660
console = 2002
aux = 2502
cnfg = configs\R2.cfg
slot1 = NM-4T
s1/0 = FR1 2
x = -289.0
y = -55.0
z = 1.0
[[ROUTER R3]]
model = 3660
console = 2003
aux = 2503
cnfg = configs\R3.cfg
slot1 = NM-4T
s1/0 = FR1 3
x = 28.0
y = -52.0
z = 1.0
[[ROUTER R4]]
model = 3660
console = 2004
aux = 2504
cnfg = configs\R4.cfg
slot1 = NM-4T
s1/0 = FR1 4
x = 381.0
y = -55.0
z = 1.0
[[FRSW FR1]]
1:102 = 2:201
1:103 = 3:301
1:104 = 4:401
2:201 = 1:102
2:203 = 3:302
2:204 = 4:402
2:213 = 3:312
3:301 = 1:103
3:302 = 2:203
3:304 = 4:403
3:312 = 2:213
4:401 = 1:104
4:402 = 2:204
4:403 = 3:304
1 = R1 s1/0
2 = R2 s1/0
3 = R3 s1/0
4 = R4 s1/0
x = -30.9800944783
y = -165.808780153
z = 1.0
나머지 내용은 좌표값이라 필요없으니 생략하기로 한다.
autostart = False
프로젝트 파일을 불러올 때 라우터 에뮬을 구동할 것이나를 묻는 것이다.
GNS3에서 가끔 오류가 발생하므로 'False'를 입력한 후 필요시 구동하는게 좋을 것 같다.
[127.0.0.1:7200]
프로젝트를 위한 Dynamips를 구동 이후 통신하기 위한 Hypervisor를 나타낸다.
working =
프로젝트 작업 폴더를 표시한다. 라우터 기본 설정파일이 프로젝트별로 디렉터리 하단에 저장된다.
[[3660]]
프로젝트에서 사용하는 라우터 모델을 위한 설정이다.
image = D:\dynamips\images\c3.....
위에서 정한 라우터 모델에서 사용할 IOS 이미지를 지정한다.
idlepc = 0x60906474
라우터를 구동하면 CPU 사용률이 높아진다. 원래 라우터에서는 남는 CPU 자원을 확인하기 위해 IDLE 프로세스가 떠 있는데 에뮬에서도 동일하기 구동되기에 IDLE 프로세스 자체가 CPU를 잡아먹게 된다.
idlepc를 적용하면 라우터 에뮬에서 CPU를 사용하지 않을 때를 체크해서 CPU 사용률을 줄여줄 수 있다.
sparsemem = True
라우터 메율마다 메모리 영역을 별도로 사용한다는 설정이다.
ghostios = True
한 개의 ISO 이미지을 가지고 여려 개의 라우터 에뮬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설정이다.
[[ROUTER R1]]
생성시킬 라우터 에뮬을 설정할 수 있다. 'R1'은 라우터 hostname으로 지정된다.
model = 3660
라우터 모델을 설정한다.
console = 2001
라우터 접속 시 사용할 텔넷 포트를 설정한다.
cnfg = configs\R1.cfg
라우터 startup-config을 설정한다.
slot1 = NM-4T
슬롯에 넣을 카드를 설정한다.
s1/0 = FR1 1
장비 간 연결한 포트를 설정한다.
serial 1/0 포트와 FR1(프레임 릴레이 스위치) 1번 포트와 연결한다는 의미이다.
[[FRSW FR1]]
FRSW는 프레임 릴레이 스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위에 이름을 hostname으로 설정된다.
1:102 = 2:201
프레임 릴레이 DLCI를 설정한다.
설정 시 Unique 하게 설정하며 GNS를 실행 시 나머지 DLCI는 자동으로 설정된다.
작성일자 : 2013.05.09
'Network > Dynami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Ubuntu에서 Dynamips/Dynagen 설치하기 (0) | 2013.04.28 |
---|
- Total
- Today
- Yesterday
- editcap
- ${1##*.}
- metasploitable3
- filesystem check
- MySQL csv
- NX ASLR
- 윈도우 패스워드 복구
- text2pcap
- capinfos
- recovery file on linux
- tshark
- 리눅스 버전
- tcpdstat
- bash parameter
- excel_aton
- dvwa_bruteforce
- bash modification
- cisco ssh
- docker_dvwa
- history timestamp
- mergecap
- ssl decrypt
- docker
- dvwa
- megacli
- oracle 11gr2
- pcapng
- 도커
- webhack
- dvwa_command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