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 DB 전체 덤프하기 # mysqldump -u [사용자 ID] -p [패스워드] [DB명] > [파일명].sql ex) mysqldump -uroot -p1234 test_db > test_db.sql 특정 테이블만 덤프하기 # mysqldump -u [사용자 ID] -p [패스워드] [DB명] [테이블명] > [DB명]_[테이블명].sql ex) mysqldump -uroot -p1234 test_db test_table > test_db_table.sql 테이블 내 조건에 맞는 내용만 덤프하기 # mysqldump -u [사용자 ID] -p [패스워드] [DB명] [테이블명] -w '[조건]' > [DB명]_[테이블명].sql ex) mysqldump -uroot -p1234 test_db te..
참조 : http://www.cacti.net/download_patches.php?version=0.8.8a Download Official Patches [0.8.8a] Patches will be listed here for any bug that has been discovered in a current version of Cacti. Installation Instructions Execute the following commands to install all of these patches against Cacti version 0.8.8a. Be sure that you are in your Cacti directory when you execute these commands. wget htt..
윈도우 패스워드 마지막 변경일 확인 net user | findstr 마지막으로 net user 을 입력하면 아래와 같은 정보를 확인 할 수 있다. 마지막 패스워드 변경일만 보고 싶다면 findstr 을 사용해서 해당 내용만 볼 수 있다. 패스워드 사용 기간이 정해져 있다면 만료 일자도 확인가능할 것이다. 리눅스 마지막 패스워드 변경일 확인 리눅스 패스워드 정책 확인 -PASS_MAX_DAYS : 패스워드 사용 가능 기간 -PASS_MIX_DAYS : 패스워드 변경 최소 기간 -PASS_MIX_LEN : 패스워드 최소 길이 -PASS_WARN_AGE : 패스워드 만료 경고일 # 패스워드 기본 권장 정책 - 패스워드 길이는 8자 이상, 최대 사용기간은 60일 이하 , 최소 사용기간은 1일 이상으로 설정한다..
윈도우 서버 2008은 계정별로 로그인 세션을 한 개로 제한해 놓고 있다. 가끔 2명 이상이 접속해서 동시에 테스트를 진행하려 할 때는 불편하다. 여러 명(기본적으로 콘솔 1명, 원격2명이 최대)이 접속할 수 있도록 해보자 관리도구 > 원격 데스트톱 서비스 > 원격 데스크톱 세션 호스트 구성을 선택한다. 팝업된 창을 보면 사용자당 세션이 하나로 제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해당 내용을 더블클릭해서 해당 설정을 체크 해제 하자..
참조 : Instant Traffic Analysis with Tshark How-to 캡쳐할 인터페이스 확인하기(-D) # tshark -D 윈도우에서도 동일하게 명령어가 적용된다. 캡처할 때 인터페이스 앞에 있는 번호를 사용해도 되고, 뒤에 인터페이스명을 사용해도 된다. 그런데 윈도오는 인터페이스가 길게 나오기 때문에 번호를 사용하는게 더 수월할 것 같다. 패킷 캡처 필터 사용하기(-f) 패킷 캡처 필터는 어떤 패킷을 캡처할 것인지 지정하는 것이다. 인터페이스에 들어오는 모든 패킷을 덤프하면 컨텍스트 전환 때문에 CPU에 부하를 주게 된다. 그래서 보고자 하는 패킷만 캡처하면 시스템에 부하를 줄여줄 수 있다. 캡처 필터는 BFP(Berkeley Packet Filter)를 사용한다. 즉, tcpdum..
윈도우 서버를 관리하다 보면 가끔 터미널을 통해서 접속하는 경우가 있다. 업무별로 사용자 계정을 생성해 놓고 접속을 할 때 윈도우 서버 기본 설정에서는 언제 누가 로그인했는지 확인할 수 없다. 아래와 같이 뜬다. 로그인을 했지만 누가 로그인한지 알 수 없다. 그래서 누가 언제 로그인을 했는지 알기위해서는 로컬 그룹정책을 편집해주어야 한다. gpedit.msc를 입력해서 로컬그룹정책을 띄운다. 위에서 보는 것처럼 로그온 이벤트 감사가 '감사 안 함'으로 되어 있다. 로그온 이벤트 감사 정책을 더블클릭해서 로그인 성공, 로그인 실패 모두 감사하도록 설정해보자
윈도우 XP, 2003 같은 경우 패스워드 분실 시 SAM 파일을 초기화하기 위해서 PE을 이용했었다. 윈도우 7, 8, Server 2008, Server 2012에서는 SAM 파일 수정하는 것 외에 윈도우 설치 CD를 통해서 패스워드 복구가 가능하다. 윈도우 서버를 부팅 후 로그인 하기 전 화면 왼쪽 하단에 보면 시계 모양 비슷한 아이콘이 있다. 해당 아이콘을 클릭하거나 윈도우키+u를 입력하면 접근성 화면이 뜬다. 접근성 화면을 띄울 때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된다. 이 부분을 이용해서 패스워드를 수정해볼 것이다. 접근성 실행 파일은 C:\Windows\System32\Utilman.exe 이다. 해당 파일을 실행하면 좀 다른긴 하지만 접근성 화면을 볼 수 있다. Utilman.exe 파일을 cmd.ex..
- Total
- Today
- Yesterday
- cisco ssh
- history timestamp
- tcpdstat
- capinfos
- metasploitable3
- ${1##*.}
- oracle 11gr2
- NX ASLR
- ssl decrypt
- bash parameter
- docker_dvwa
- dvwa_command
- dvwa
- dvwa_bruteforce
- MySQL csv
- bash modification
- webhack
- docker
- 도커
- megacli
- text2pcap
- 리눅스 버전
- filesystem check
- excel_aton
- pcapng
- recovery file on linux
- 윈도우 패스워드 복구
- editcap
- mergecap
- tshar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